[프레시안/171025] 호텔리어들의 투쟁에서 찾아보는 희망

이성종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정책실장


원문 링크 > http://m.pressian.com/m/m_article.html?no=173096#058n



[세종호텔노조의 6년] 연대주점을 준비했습니다


서울 명동의 세종호텔에는, 2012년 초 38일 간의 로비점거 파업 이후 수년 동안 계속된 구조조정과 노조탄압 속에서 투쟁하고 있는 세종호텔노동조합 십여 명의 노동자들이 있다. 수년 간 이어진 상시적인 구조조정과 부당노동행위로 인해 300명에 가까웠던 세종호텔 정규직 노동자의 수는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고, ‘희망퇴직’으로 퇴출된 정규직의 빈자리는 도급‧용역‧외주‧촉탁 등의 비정규직 노동자들로 채워졌다. 과장급에서 계장급으로 확대된 성과연봉제는 2017년 1월부터 모든 직원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고, 세종호텔의 노동자들은 정규직도 비정규직도 고강도‧장시간‧저임금 노동으로, 권리 없는 불안한 노동으로 내몰려 왔다. 그 기간에 전 노조위원장을 비롯한 3명의 해고자가 발생했다.

노동자도 가만히 있지는 않았다. 지난한 시간을 회사와 싸워왔다. 지난해에는 공동투쟁본부가 꾸려졌다. 그래서일까. 그 결과, 세종호텔에서는 6년 만의 교섭 국면이 열렸다. 오는 25일에는 연대 주점도 열린다. 지난 6년 동안 세종호텔 노동자들이 어떻게 싸워왔는지, 그리고 그 싸움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지금부터 16년 전인 2001년. 

화려하고 중후한 외양과는 달리 그 이면에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분주하게 일하고 있는 호텔리어들의 일상과 사랑 이야기 그리고 M&A에 직면한 호텔을 차지하기 위해 벌이는 경영자들의 경쟁을 그린 드라마가 ‘호텔리어’라는 제목으로 방송된 적이 있었다. (호텔리어[hotelier] 호텔에서 근무하는 사람)

아마도 그 당시 드라마를 시청하는 대다수의 일반 시민들은 화면에 나오는 꽃장식이 세팅되어 있는 깔끔한 테이블, 고풍스런 색상의 그림이 새겨져있는 커튼 그리고 천정에 반짝거리며 매달려있는 고급스런 샹들리에를 보면서 자신이 주인공인양 호텔 안에서 벌어질 일들을 유쾌하게 상상해 보기도 하였을 것이다. 또 한편으로는 호텔리어들이 입고 있는 연미복 같은 유니폼과 세련된 표정과 자세를 유심히 살펴보면서, 럭셔리한 호텔 안에서 일하면 어떤 기분일까? 월급도 나름 꽤 받겠지? 등의 상상했을 것 같다.

▲ 세종호텔50주년 토론회. ⓒ세종호텔공투본


그런데 참 아이러니컬하다. 드라마 방영 1년 전인 2000년은 서울시내 특급호텔(롯데호텔, 힐튼호텔, 스위스그랜드호텔) 세 곳에서 정규직,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서로를 위로하고 격려하며 총파업투쟁을 벌인 해였다. 뜨거운 여름 햇볕을 받아 까맣게 타버린 얼굴을 한 2천 명의 호텔노동자들이 호텔에서, 거리에서, 공원에서 투쟁을 외치면서 길게는 4개월 동안 투쟁을 벌였다. 당시 호텔노동자들의 핵심요구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였고 결국 투쟁의 성과로 일정 기간(2년) 일하면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합의에 성공하게 된다. 

2001년 드라마에서 보았던 호텔노동자와 그 1년 전 거리에서 투쟁하는 호텔노동자는 왜 매치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당시 공동파업을 주도한 모호텔 노조위원장이었던 필자 역시 그때 투쟁했던 모습들을 떠올리면 가슴이 벅차오르는 기분을 지울 수가 없다. 호텔노동자들은 일상에서 고객을 위하여 일하는 서비스노동자라는 개념이 깊게 자리하고 있어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중단하고 파업투쟁에 참여하는 것이 당연히 익숙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이 일하는 동료인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처우개선과 권리쟁취를 위해 정규직들이 수개월 동안 투쟁을 함께 하기로 결심했다는 것 그 자체가 벅찬 일이었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은 2004년. 

이번에는 대전 유성에 있는 리베라호텔에서 회사가 폐업을 선언하고 노조는 이에 맞서 무려 619일 동안 위장폐업 철회와 원직복직을 요구하는 투쟁을 전개했고, 결국 2006년 5월 전체 직원과 조합원이 복직하는 결과를 만들어냈다. 2001년 브라운관 속 호텔리어의 모습과 몇 년이 지난 후 호텔리어의 모습은 무척이나 많이 달라져 있었고 언제부턴가 호텔리어의 노동환경은 점점 더 아슬아슬하게 어두운 터널 안으로 들어가는 듯한 상황들이 지속되고 있었다.

1988년 서울올림픽 전후, 호텔업종은 급속하게 발전하였고 ‘굴뚝 없는 공장’으로 외화벌이 역할을 자임하면서 승승장구하는 시대를 맞이했다. 하지만 호황은 잠시, 1997년 외환위기로 경제가 급격히 침체되면서 구제금융 시기 내내 호텔들은 대대적인 외주화와 함께 비정규직을 확대하였다. 이에 대응하는 노동자들의 투쟁이 점철되었고 현재까지도 진행 중이다.

▲ 제40회 관광의날 관광호텔노동자 기자회견. ⓒ서비스연맹


작금 세종호텔 노동자들의 투쟁이 치열하다. 정치권력과 자본권력을 가진 이들에 의해 자행되는 불‧탈법적인 노조탄압, 조합원들에게 가해지는 인권과 생존권을 무력화시키는 비상식적인 부당노동행위들이 수 년 동안 지속된 현장이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작은 흔들림도 없이 그야말로 당당히 맞서고 있는 소수가 아닌 소수의 세종호텔 노동자들이 보인다.

그동안 호텔리어들이 경험하지 못한 여러 형태의 극한 상황들을 정면으로 부딪쳐가며 지난 6년여 동안 투쟁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세종호텔 노동자들의 투쟁하는 모습을 바라보면 다시금 2000년 그 때를 떠올리게 된다.

2001년 TV 드라마에서 보았던 열심히 일하는 호텔노동자들의 모습과 2017년 세종호텔 노동자들이 일하면서 투쟁하는 모습에서 일치하는 게 있는데 그것은 ‘밝은 표정’이다. 그러나 2001년의 TV속의 그것과 현실 속 세종호텔 노동자들의 밝은 표정은 원인과 내용에 있어서 당연히도 질이 다르다.

그 밝은 표정은 지난 시기 고단한 투쟁 속에서도 당사자들이 희망을 잃지 않고 승리의 믿음을 버리지 않고 있었다는 반증일 것이다. 이들의 투쟁을 나의 것으로, 우리의 것으로 받아들이고 오랜 시간 기꺼이 세종호텔 투쟁에 함께해 온 많은 노동자‧시민 들의 연대가 만들어낸 힘 덕분이 아닐까 생각한다.

‘세종호텔노동조합 연대주점’이 바로 오늘 열린다. 밝은 표정의 세종호텔 노동자들과 투쟁에 힘이 되어주었던 또 다른 밝고 아름다운 얼굴들을 마주하게 될 것이기에, 주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현장 분위기에 맞게 표정관리를 해야 하지 않을까? 혹시 이것도 ‘감정노동’?!


블로그 이미지

세종호텔공투본

노동자의 보람과 삶과 존엄을 짓밟는 #주명건 회장의 세종호텔에서 벌어지는 #노동탄압- 함께 맞서 이겨내기 위해 2016년 6월 9일부터 ‘해고·강제전보 철회! 노동탄압·비정규직 없는 #세종호텔 만들기 공동투쟁본부’가 세종노조와 함께 합니다.

,